건축설비/회계

재고자산 - 4

아우라지. 2010. 8. 23. 20:07

2. 투자자산의 의의 및 분류

 1). 투자자산의 의의: 장기적인 투자목적 자산 -à 투자수익을 얻을 목적의 자산.

 2). 투자자산의 분류

⑴투자부동산: 비영업용, 투자목적부동산.

⑵장기투자증권: - 매도가능증권.  만기보유증권.  장기금융상품.

⑶지분법적용 투자주식: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식.

⑷장기대여금.

⑸특정사용목적의 예금.

 

3. 투자자산의 매도가능증권의 기말평가(중요)     

 1). 지분증권: 기말에 공정가액법 적용(평가)

    - 매도가능증권 평가손익은 자본인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표시하고 처분하거나 손상차손을 인식하는

      시점에 당기손익에 반영한다.

    - 공정가액: 시장가격을 공정가액으로 본다. 시장가격이란 대차대조표일 현재의 종가로 본다.

 

)<P316>. 2006 7/20일 장기투자목적 주식취득 \5,000,000

       > 매도가능증권 \5,000,000 / > 현금 \5,000,000

2006 12/31일 기말공정가액 \6,000,000원인 경우

  > 매도가능증권 \1,000,000 / >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 \1,000,000

               2006 12/31 기말B/S상에 표시하는 방법은 자본인 기타포괄수익누계액으로 표시

   --------------------------------------------ㅣ-------------------------------

   매도가능중권(공정가액으로 표시) \6,000,000 ㅣ  자본 기타포괄수익누계액

                                               ㅣ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     \1,000,000

2007 12/31일 기말공정가액 \4,500,000원인 경우

  >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 \1,000,000        / > 매도가능증권 \1,500,000

        2006년 평가손익을 먼저 상계한다 /

      매도가능증권평가손실 \500,000  .    /     

 

                            2007 12/31 기말B/S

    ----------------------------------ㅣ---------------------

    매도가능증권(공정가액) \4,500,000 ㅣ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자본에서 차감 표시한다.

                                      ㅣ  (-)매도가능증권평가손실 \500,000          

      

2008 2/1 \4,800,000원에 처분시

  ----------------------------------ㅣ----------------------------------------

  > 현금 \4,800,000               ㅣ   > 매도가능증권 \4,500,000

      매도가능증권처분손실 \200,000 ㅣ       매도가능증권평가손실 \500,000

※처분이익(처분손실) = 처분가격 취득원가 = 4,800,000 – 5,000,000 = (-)200,000 손실

  이때의 처분손실은 손익계산서의 영업외 비용으로 처리된다.

 

                       2008 2/1 B/S

        ----------------------ㅣ---------------------------

        매도가능증권 (\0).  ㅣ    기타포괄손익누계 (\0)

 

                      2008년 손익계산서

       -----------------------------------------

        영업외 비용

        투자자산 처분손실: \200,000

      ※매도가능증권에서 지분증권은 공정가액으로 평가하지만 공정가액을 신뢰성있게 측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취득원가로 평가한다. è 취득원가로 평가하면 매도가능증권 평가손익이 없다.

 

 2). 채무증권: 무조건 공정가액법을 적용한다.

               평가손익은 자본인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표시한다.

 

4. 만기보유증권

 1). 만기보유증권의 의의: 만기가 확정된 채무증권, 만기까지 보유할 의사가 있는 채무증권이다.

 2). 만기보유증권의 취득원가 = 구입가격 + 취득부대비용

 3). 만기보유증권의 기말평가 = 상각후 취득원가로 평가한다. 따라서 평가손익이 없다.

 

5. 지분법적용 투자주식 (아주중요)

 1). 지분법적용 투자주식의 의의 (중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식): 피투자회사의 순자산변동분을 투자자의 투자주식에 반영. 반영하는 이유는 투자자산은 피투자자에 대한 경제적 영향력이 중요시되기 때문이다.

 2). 지분법적용 투자주식의 주장근거: 경제적 영향력이 중요시되기 때문이다.

 3). 지분법의 회계처리

⑴취득시: 지분법적용투자주식 **** / 현금 *****

⑵피투자회사의 순이익보고시: 지분법적용 투지주식 **** / 지분법이익(영업외 수익) ****

                               피투자회사 순이익증가 × 투자지분율

⑶배당수취:  현금 **** / 지분법적용투자주식 ****

        피투자회사 배당금지급액 × 투자지분율

  

<사례>. (p323)

    2008 1/1일 ㈜서울이 ㈜종로주식을 40%, \7,000,000원 취득. 취득당시 공정한 순자산은

       \17,000,000원 이였다.

         > 지분법적용투지주식 \7,000,000 / > 현금 \7,000,000

2008 12/31일 종로는 결산결과 순이익 \4,000,000원으로 보고.

     > 지분법적용투자주식 \1,600,000 / > 지분법 이익(영업외 이익) \1,600,000

     4,000,000 × 40%(지분율) = 1,600,000   ※지분율이 20% 이상이면 중대한 영향력 행사.

2008 12/31일 ㈜종로는 배당금 \2,000,000원 지급.

     > 현금 \800,000 / > 지분법적용투자주식(차감) \800,000

       2,000,000 × 40% = 800,000

 

2008 12/31투자차액상각 5년간 정액법

     > 지분법 이익 \40,000 / > 지분법적용투자주식 \40,000

         ※〔취득 \7,000,000 – (순자산 \17,000,000 × 40%)× 1/5 -à(5) =투자액 또는 정액권

              = \40,000 (투자주식 상각액이 된다)

   

         따라서 기말 B/S 

        -------------------------------------

        지분법적용 투자주식 \7,760,000              지분감소액

7,000,000 +(4,000,000 ×40%- (2,000,000 ×40%) – 40,000 = 7,760,000원이다

             ---------------ㅣ---------------------------------------------

                                         ㅣ순증가분 760,000원이다.

                순증가액이 760,,000원에 취득가액 7,000,000원 더해서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은

                 7,760,000원이 된다.

 

          손익계산서

        영업외 수익

        ------------------------------------------------------

        지분법 이익 \1,560,000  =è 순이익 4,000,000 × 40% - 투자차액 상각금 40,000

                                      = 1,560,000(손익계산서 영업외 수익)

 

 

'건축설비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고자산 - 3  (0) 2010.08.23
재고자산 - 2  (0) 2010.08.23
재고자산 - 1  (0) 2010.08.23
채권채무에 관한 기장  (0) 2010.08.04
대손에 관한 회계처리 및 대손충당금 설정법  (0) 2010.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