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손회계 및 채권채무 기장(8)
1. 대손에 관한 회계처리
대손이란: 받아야 할 수취채권. 일반적인 상거래에 의해 발생된 매출채권, 일반적 매출채권이 아닌 대여금, 미수금 등 기업이 받아야 할 수취채권에 대해서 상대방 거래처가 파산되거나, 또는 사업주가 사망하거나 강제집행을 받는 등 여러 대손사유로 인해서 회수 불능한 수취채권에 대해서 어떤 방식으로 기장할 것이가를 대손회계라 한다.
대손회계에 대해서 현행 우리나라 회계처리기준은 대손충당금 설정법이다. 기말결산에서 대손예상액에 대해서 대손충당금을 먼저 설정하고, 실제로 대손되면 대손충당금과 상계하도록 하는 회계처리다.
대손충당금을 미리 설정하는 것이 대손충당금 설정법이다.
1). 대손회계의 이론적 근거
①합리적인 수익 대응의 원칙 è 발생주의 회계라 할 수 있다.
②수취채권의 순실현 가능가치로 평가 è 현행체계의 틀이다.
2). 대손액추산 방법
⑴B/S 접근법 è 순실현가능가치를 잘 표시해 준다.
B/S 대손추산액 = 매출채권잔액 × 대손추정율 = 5,000,000 × 2% = 100,000원
대손추산율은 전체 100%에서 회수율인 98%을 빼면 대손추정율은 2%가 된다.
대손추산액은 (-) 해준다 à 대손충당금이 60,000 인경우: 기존 설정된 대손충당금에서
대손추산액을 빼준다. 따라서 기말에 대손충당금설정액은 40,000원이 된다.
※수익실현가능가치를 잘 표시해 준다.
⑵I/S 접근법 è 기존의 충당금에서 남는 잔액을 고려하지 않음. 대손추산액을 전부설정한다.
대손추산액(기말설정액이 된다) = 외상매출액 × 대손추정액
따라서 대손추산액이 기말설정액이 된다.
※손익계산서 접근법은 기존의 충당금으로 남는 잔액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대손추산을 전부설정한다.
수익비용의 대응원칙을 합리적으로 하는 데 있다.
우리나라 기업회계기준은 대차대조표 접근법에 의한다.
2. 기업회계기준에 의한 대손회계: 대손충당금 설정법
1). 기말결산시; 대손액을 추산하여. 대손충당금을 설정한다. à 기존 초과액은 환입처리한다.
①기말대손추산액 100,000 ← 매출채권 잔액 5,000,000 ×추정율 2%: 대손추산액이란 회수불확실한 금액을 말한다.
- 설정전 잔액 40,000원
- 기말설정액 60,000원원 à 충당금이 100,000원이 있어야 하나 40,000만 있으므로 60,000원을
②결산시: 대손상각비 60,000 (비용처리) / 대손충당금 60,000
대여금이나 미수금에 대한 회수가 불확실한 기타채권에 해당되는 것도 대손상각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의 함목은 기타 대손상각비의 항목을 상각하여 à 영업외 비용처리 한다.
※대손충당금과 설정된 잔액은 해당 수취채권에서 차감표시된다.
순실현가능가치를 표시할려면 대손충당금을 차감하여야 한다.
③기말대손추산액이 100,000원인 경우. è 매출채권 5,000,000원의 2% 대손추산액이다
(-) 대손충당금 설정전 잔액 120,000원. à 대손추산액이 20,000원 부족하므로 환입처리하여.
환입액. 20,000원. 영업외 수익으로 처리한다.
결산시>. 대손충당금 20,000원. / 대손충당금환입(영업외 수익) 20,000원
B/S(대차대조표)
-------------------------------------
(-) 대손충당금. 100,000원. à 4,900,000원 : 매출채권에서 차감한 형식을 표시
간접법이라 한다.
또는. 기말 B/S
--------------------------------------
4,900,000원이 순실현가능가치가 된다. è 순실현가능가치가 표시되려면 해당채권에서 대손충당금을 차감하여야
한다.
2). 기중 실제 대손시. à 실제로 대손된다라는 의미는 회수불능 된다는 의미이다.
①대손충당금 잔액 100,000 > 실제 대손액 80,000 인 경우
대손충당금 80,000 / 매출채권 80,000 è 서로 상계한다.
- 매출채권이 대손충당금과 상계되는 경우 당기손익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 비용처리되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 해당 매출채권과 대손충당금과는 상계하기 때문에 자산인 채권잔액에도 변동이 없다.
- 자신인 채권잔액에 변동이 없다는 것은 순이익에 변동이 없다는 것이다. 해당 채권에도 변동이 없다.
②대손충당잔액 100,000 일때 < 실제대손액이 150,000 인 경우
대손상각비. 50,000 /
감소된다. à 비용처리 된 만큼 자산은 감소한다.
③대손충당금이 0원 < 실제대손액이 80,000원 인 경우
대손상각비 80,000 / 매출채권 80,000
※결론: 기중의 대손시에는 실제 대손액이 있으면 차변의 대손충당금과 상계한다. 충당금이 부족하면
차변의 대손상각비로 비용처리 한다. 그리고 충당금이 하나도 없으면 전부 차변의 대손상각비로 비용 처리하여 차감한다.
3). 이미 대손처리한 것이 다시 회수되는 경우 “”시험예상 중요함””
①당기에 대손처리한 것이 회수되는 경우는 대손처리 했던 차변의 계정과목을 대변의 대손충당금 또는
상각비로 취소시키면 된다. (대손충당금. 대손상각비 각각으로 취소)
당기인 3월10일에 대손액을 처리하고 이를 당기인 9월20일에 회수하였다.
è 3/10 대손시에>. 대손충당금(잔액) 100,000원 / 매출채권 150.000원
대손상각비 50,000원/
9/20 회수기에>. 현금 150,000원. / 대손상각비 50,000원
대손충당금 100,000원
※따라서 당기중에 대손 처리되었던 것이 당기 중에 회수될 때는 대손처리 했던 차변의 계정과목을 회수시에는 대변의 계정과목인 대손상각비와 대손충당금으로 하여 취소시켜야 한다.
②전기 또는 전기 그 이전에 대손처리 된 금액이 당기에 회수되는 경우는? è 시험문제 예상
2008년 당기에 회수한 경우는 전기에 처리한 것은 이미 마감 처리했으므로 회수액은 대변에 대손충당금
증가로 한다.
풀이. 차변에 현금 150,000 / 대변에 대손충당금 150,000 à 대손충당금 증가로 처리한다.
※전기나 그 이전의 어떤 식으로 대손처리 했던 상관없이 전기에 처리했던 대손충당금이 당기에 회수시에는 대손충당금 증가로 처리한다.
③대손충당금 계정
대손충당금 A/C
----------------------------ㅣ--------------------------------------
12/31 차기이월 250,000. ㅣ 전기상각채권 회수액. 30,000 à 당기에 회수했음으로 증가이다.
기말잔액=당기말 총추산액.ㅣ 12/31 기말설정액 ? 100,000원이 된다.
----------------------------ㅣ------------------------------------------
기말잔액과 당기말 총추산액이 같아야 하는 이유는 부족액만 설정하고 초과액은 환입했기 때문이다. 차가이월액이 기말잔액이다.
예제>
1). 2008. 1/1 대손충당금 기초잔액 300,000원
2). 2008년 기중에
①5/11 매출채권 380,000원 회수불능 대손 (대손충단금 잔액과 상계처리하고, 부족액이 있으면 대손상각비로 처리한다)
②9/12 전기인 2007년 기중대손처리액 100,000원 회수하였다. è 무조건 대손충당금 증가
③12/31 기말매출처리 잔액 7,500,000에 6% 회수 불확실한 금액으로 추정. 각각 상황회계처리하고
B/S 및 I/S 표시
※6%에 대한 추산액 450,000원이 회수불능한 채권이다.
풀이>
1). 5//11 대손시. 대손충단금 300,000 / 매충채권 380,000
대손상각비(비용처리) 80,000 /
2). 9/22 회수시. 현금 100,000 / 대손충당금 100,000 à 대손충당금 증가로 무조건 처리한다.
3). 12/31 결산시. 대손상각비 350,000 / 대손충당금 350,000
기말추산액 450,000 ← 7,500,000 * 6% = 450,000
-) 대손충당금잔액 100,000 ← 1)의 300,000 – 충당금 300,000 + 회수 100,000
기말성정액 350,000원
4). 기말 B/S. 또는 기말B/S
----------------------------------- ---------------------
대손충당금 (450,000) = 7,050,000. 해도 됨.
-----------------------------
※대손충당금= 전기 회수 100,000원 + 기말결산시 추가 350,000원 이기 때문이다
손익계산서
'건축설비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고자산 - 1 (0) | 2010.08.23 |
---|---|
채권채무에 관한 기장 (0) | 2010.08.04 |
외상매출금과 외상매입금의 기장 (0) | 2010.08.04 |
단기매매증권의 기말평가 및 처분 (0) | 2010.08.04 |
유가증권평가 및 분류, 공정가액 추정및 재무제표 공시 (0) | 2010.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