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비/회계

재고자산 - 2

아우라지. 2010. 8. 23. 19:52

4. 재고자산의 원가배분(중요)

    재고자산: 손익측정과 자산평가를 올바르게 하기 위해 매출원가와 기말상품으로 배분하기 위한 과정

              이다. 따라서 수정결정과 단가결정이 이루어져야 정확하게 재고원가가 배분된다.

    기초상품       800,000      -->     매출원가(비용): 손익으로 측정 à 경영성과를 나타낸다.

    당기순매입액 4,200,000      -->     기말상품(자산): 자산으로 평가되어 재무상태를 나타낸다.

          .    5,000,000

                                 ※매출원가 = 매출단위 * 매출수량으로 하여야 한다.

                                 ※기말상품 = 기말에 남은 수량 * 단위 또는 원가를 곱해야 한다.

 1). 기말재고 수량결정

⑴계속기록법(장부재고법, 수시기록법): 매출시마다 장부에 기록

  (기초수량 + 매입수량) - 장부매출수량 = 장부재고수량

     (300 + 2,200)  -  2,000  =    500

⑵실사 재고조사법(기산조살법): 기말결산시 실사를 통해 수량파악.

   (기초수량 + 매입수량) – 기말실사수량 = 당기매출수량

     (300  +  2,200) -  450       = 2,050 =è 결산시 재고수량 매출수량결정

수정기록법(혼합법): 현행우리나라 기업회계처리 기준이 된다.

   계속기록법과 실사재고조사법을 병행하는 방법으로 별도의 감모손실에 대해 회계처리하도록

 되어있다.

 (계속기록법) 장부재고 – (실사재고조사법) 재고 = 감모수량

               500   - .               450 = 50 =è 부족한 50개를 감모처리한다.

※감모량 50× 단위단가 \1,000 = 감모손실액 50,000

          정상원인(원가성인 경우): 매출원가에 삽입한다.

             감모손실 50,000원에 대한 60% 30,000원만 정상적인 원인인 경우

             매입(매출원가계정): 30,000원 삽입함 / 이월상품 30,000원 직접 차감한다.

비정상적인 원인(원가성이 없는 경우: 영업외비용 처리): 20,000원만 비정상처리하는 경우

   재고자산 감모손실 20,000 / 이월상품 20,000원 직접차감한다.

                영업외 비용으로 처리된다.

 

 2). 단가결정(원가흐름과정 또는 재고자산평가방법이라 한다): 단가를 얼마로 결정되느냐에 따라, . 매출수량에 얼마의 매입단가를 곱해주고, 기말재고수량에 얼마의 매입단가를 곱해주냐에 따라서 매출원가와 기말재고의 크기가 달라진다. 매출원가 비용이 달라졌으면 매출총이익이 달라지고, 법인세비용이 달라지고, 당기순이익이 달라진다.

 

          따라서 어떤 원가흐름과정으로 하느냐에 따라 매출원가의 크기가 다르다. 기말상품 크기가 다르다. 매출총액 크기가 다르다. 법인세비용 크기가 다르다. 당기순이익 크기가 다르다는 것이다.

 

⑴개별법: 가격표에 의한 방법 è 계속기록법, 실사법에 의할 수 있다. = 결과는 동일하다.

선입선출법(FIFO)= 매입순법, 선착순판매법  è 반드시 출제된다

  ①계속기록법.          매출원가.                 기말상품

                      ---------->                    

               ------->        ----------> ㅣ----ㅣ--------ㅣ

         --ㅣ------------ㅣ---------------ㅣ---------------ㅣ-------------

          기초          매출             매출             기말

    남은 재고에서 선착순으로 매출시킨다. 따라서 앞부분이 매출원가(비용이 된다)가 되고, 기말로부터 최근 거래가 기말재고자산(기말상품: 자산이 된다)이 된다

 

②실사법:                      

         --ㅣ------------------ㅣ-----------------------ㅣ--   (기말에 수량결정을 한다)

         기초.                                         기말 è 최근 것이 기말상품이 된다.

             기초에서 선착순으로 매출원가를 비용처리

    ※따라서 계속기록법이든 실사법으로 하든 매출원가가는 같은 금액이 나온다. 기말상품도 같다.

 

  기말B/S 기록은?

  ----------------------------------------

       기말상품 ***  --à 최근의 매입품이 원가로 기록된다.

 

   손익계산서는?

   ----------------------------------------

       Ⅰ 매출액 ***

-) Ⅱ 매출원가 *** --à 과거의 매입액이 원가로 표시된다

----------------------------------

     = 매출총이익 ****

 

선입선출법의 장점

  ⓐ실제물량흐름과 일치

ⓑ기말재고액이 현행가치로 평가된다.

B/S에 충실한 방법이다(자산의 이익에 중점을 둠)

선입선출법의 단점

  ⓐ물가상승시 이익과대표시로 가공이익이 발생한다 -à 기말상품이 크고 매출원가는 작아진다.

ⓑ현행수익에 과거원가가 대응되어 수익. 비용대응이 불완전하다.

 

⑶후입선출법(LIFO): 매입역법. 후착순판매

  ①계속기록법: 매출시마다 후입선출, 후입선출이 적용된 금액을 합계하면 매출원가(비용)이다.

       기말재고액은 기초재고액에 선출하고 나머지는 더한다.

       후입선출되고 나머지는 계속 더하면 기말재고액이 된다.

             <-------- 매출.    <------ 매출.      <------매출    

      -ㅣ---------------ㅣ---------------ㅣ----------------ㅣ----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기초.    ㅣ--------------ㅣ----------------ㅣ       기말

                              ㅣ--> 합계액이 기말재고(자산)

 

②실사법: 기말 판매된 수량만큼 선착순으로 적용 =è 매출원가를 적용한다.

ㅣ----------------------------------------------ㅣ                                                           수량결정

         기초.                  <-----------------  ㅣ

                                  매출원가(비용).  기말

               기말재고액(자산)

        따라서 후입선출법은 계속기록법과 실사법에 의하고. 기말재고액이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기말재고액(자산)

        기말 B/S -à 초기에 매입원가가 기말재고로 남는다.   

        기말상품 ****

    -------------------

       손익계산서 -à 최근에 매입원가가 매출액에 대응된다.

    ------------------- 

      Ⅰ 매출액 ****

-)Ⅱ 매출원가 ****  ß- 최근의 매입원가이다.

-------------------

=)Ⅲ 매출총이익 ****

 

후입선출법의 장점

  ⓐ물가상승시 순이익이 줄어들어 법인세 인하효과가 있다.

ⓑ수익비용대응이 합리적이 된다.

ⓒ실물자본이 유지된다.

ⓓ손익측정에 중점을 둔 I/S에 충실한 방법이다.

후입선출법의 단점

  ⓐ자산이 현행공정시가에 반영되지 못한다.

ⓑ구매조작을 통한 순이익 조작이 가능하다.

ⓒ물건전환 구매습관이 조장된다.

    ※문제풀이 p 302 14

 

⑷평균법: 객관적이다. 신뢰성이 있다. 금액조작 가능성이 낮다.

  ①총평균법(실사법. 평균법) -à 계속기록법은 적용불가

    총평균단가 =  (기초재고액 + 당기매입액) ÷ (기초재고수량 + 당기매입액)

    매출원가 = 매출수량  × 총평균단가.

    기말재고액 = 재고수량 × 총평균단가.

②이동평균법(계속기록법. 평균법) -à 실사법은 적용불가

  이동평균단가 = (매입직전재고액 + 신매입액) ÷ (매입직전재고수량 + 신매입수량)

         물가변동이 있는 경우만 기록.

 

 3). 각 원가흐름 가정의 크기

물가상승시

기말재고액: 선입선출법 > 이동평균법 > 총평균법 > 후입선출법

  당기순이익:                                   

  법인세비용:                                   

  매출원가(비용): 선입선출법 < 이동평균법 < 총평균법 < 후입선출법

 

⑵물가하락시: 물가상승시와 정반대의 결과이다.

'건축설비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고자산 - 4  (0) 2010.08.23
재고자산 - 3  (0) 2010.08.23
재고자산 - 1  (0) 2010.08.23
채권채무에 관한 기장  (0) 2010.08.04
대손에 관한 회계처리 및 대손충당금 설정법  (0) 2010.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