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결산 본철차(장부마감)
1). 총계정원장(A/C)의 5가지 종류:
⑴자산(현금). ⑵부채(외상매입금). ⑶자본(자본금). ⑷수익(상품매출이익) 또는 손익(수익.지출)⑸비용(임금).
2). 수익과 비용의 마감
(1) 당기순손익을 먼저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수익과 비용을 먼저 마감한다.
비용 A/C. 손익 A/C(집합계정이라 함). 수익 A/C
--------ㅣ------------- ---------ㅣ------------- ------------ㅣ-----------
--------ㅣ---------- 잉여금 ㅣ 손익 *** ㅣ
-----------ㅣ---------- -----------ㅣ-----------
장부 마감시에는 총계정원장부터 마감한다.
※수익은 발생이 대변이고, 소멸이 차변이므로 대변잔액이다. 따라서 순익계정 대변의 수익으로 대체를 통한 분개를 한다.
※비용은 발생이 차변이고 소멸이 대변이므로 비용은 차변잔액이다. 따라서 손익계정 차변의 이익처분 잉여금으로 대체해 준다.
(2) 마감순서
12/31 수익계정 **** / 손익계정 ****
손익계정 **** / 비용계정 *****
※수익의 대변잔액을 차변에 차감하여 손익대변으로, 비용의 차변잔액을 대변에 차감하요 손익 차변으로 마감 분개한다.
※따라서 손익계정 대변에는 수익이 오고, 차변에는 대변의 상대계정인 비용이 온다.
손익계정을 집합계정이라 한다. à 총수익이 집합되어 있고, 총비용이 집합되어 있다.
손익계정에서 순이익이 생기면 이를 이익처분 잉여금으로 대체한다.
(3) 순손익을 자본에 대체
손익계정의 비용 1,20,000원 / 수익 1,500,000원 인경우
①순이익 발생이 300,000원인 경우
12/31 손익 300,000원 발생하여 / 미처분 이익잉여금 300,000원 à 자본의 증가로 본다.
②순손실이 발생한 경우
12/31 미처분 결손금 **** / 손익 **** à 손익 A/C의 차변 비용발생. 대변 수익이 작은 경우 그 차액을 대변의 하단에 미처리 결손금으로 기록하여 처리한다.
미처리 결손금은 자본의 차감을 가져온다. 자본금에서 직접 차감할 수도 있다.
3). 자산 부채 및 자본 A/C의 마감
자산(현금 등). 부채(차입금 등)
--------ㅣ-------------- --------------ㅣ--------------
ㅣ 12/31 차기 이월 1,200,000원. 12/31 차기이월 ㅣ
----------ㅣ------------- 700,000원ㅣ
1/1 전기이월 1,200,000원 --------------ㅣ-------------
1/1 전기이월 700,000원
자본(자본금 등)
---------------------ㅣ---------
12/31 차기이월 500,000원 ㅣ 1/1 전기 이월 500,000원으로 계정을 마감한다.
----------------------ㅣ-----------
따라서 자산, 부채, 자본계정은 별도의 분개가 없다
4). 분개장 및 기타 장부마감
5). 이월 시산표 작성: 차기로 이월되는 것
이월 시산표
--------------------ㅣ----------------------
ㅣ 기말자본 500,000원
--------------------ㅣ----------------------
1,200,000원.ㅣ 1,200,000원
※자산 부채 자본 중에서 차기로 이월되는 것만 시산표에 작성한다
※비용과 수익은 이월되지 않고 단지 수익으로 대체하기 때문에 마감 후에는 차익이 발생하지 않는다
수익 비용은 이월되지 않는다 하여 명목계정이라 한다. 수익 비용계정에 잔액이 생기면 장부마감이 잘못되었다 할 것이다.
침고사항>. 결산 본절차 장부마감 순서(A/C)에서 참고사항
⑴집합손익계정 선정
⑵수익과 비용계정 마감: 손익계정으로 대체 è 대체방법은 계정의 반대쪽에 어디로 가겠다고 기록하고대체계정은 어디에서 왔는지 기록한다. 손익은 비용과 수익의 집합계정이다.
따라서 수익과 비용계정은 수명을 다함. 이를 명목계정(임시계정)이라 한다.
⑶당기순손익을 자본계정으로 대체
⑷자산과 부채에서 자본을 마감하고. 전기이월시킨다. 따라서 실질계정 또는 실제계정이라 한다.
자산 부채 자본은 마지막 날자로 차기 이월시킨다 à 기말재고
차기년도 장부에 전기이월시켜 기록한다 à 기초재고
※명목계정(임시계정): 손익계정이 자본증감의 원인을 명백히 하기 위하여 임시적으로 설정하는 계정
3). 후절차: 보고서작성(재무제표작성: 대차대조표작성. 손익계산서작성)
※기초자본금 ± 당기순손익 = 기말자본금
기말자본금 – 기초자본금 = 당기순익(재산법에 의한)
총수익 – 총비용 = 당기순익(손익법에 의한)
결산보고서: ①보고서작성(재무제표)
②대차대조표(B/S): 일정기간동안의 재산상태 è 자산. 부채. 자본
③손익계산서((I/S): 일정기간동안의 경영성과 è 수익. 비용.
④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
⑤현금흐름표
⑥자본변동표
⑦주석
※회계의 순환이란: 거래발생시로부터 시산표를 작성하고, 재고조사표를 작성하고, 결산수정하고, 수정후 시산표를 작성하고, 정산표를 작성하고, 결산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하여 보고하는 과정이 매 회기마다 반복되는 과정을 회계의 순환이라 한다.
1. 거래에서 (1) 회계상 거래인 것과
(2)회계상 거래가 아닌 것으로 구분한다. à 자산, 부채, 자본, 수익의 화폐상 아무런 변화가 초래되지 않는 것이다. 즉, 계약을 체결하다. 주문하다. 직원을 채용하다.
(3)거래요소의 결합관계: 분개의 법칙과 계정기입의 법칙이 된다.
①자산의 증가는 차변에. 자산의 감소는 대변에 기록한다.
②부채의 감소는 차변에. 부채의 증가는 대변에 기록한다.
③자본의 감소는 차변에. 자본의 증가는 대변에 기록한다.
④비용의 발생은 차변에. 비용의 소멸은 대변에 기록한다.
⑤수익의 소멸은 차변에. 수익의 발생은 대변에 기록한다.
2. 결산의 절차 à 기말의 절차이다. -à 가장많이 출제
(1) 예비적 절차: 시산표작성. 재고조사표 작성. 수정분개 수정기입. 수정후 결산서작성. 정산표작성.
(2) 본절차: 장부마감 과정으로 수익비용 마감과정. 자산 부채 자본 마감과정. 보조부 마감.
이월시산표 작성과정
(3) 재무제표 작성절차(후절차): 결산서 작성
'건축설비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예금 및 유가증권의 공시방법 및 기장 (0) | 2010.08.03 |
---|---|
자산 평가 및 현금예금(6) (0) | 2010.08.03 |
정산표 작성 (0) | 2010.08.03 |
결산수정사항 (0) | 2010.08.03 |
거래의 기장과 복식부기의 기본원리 (0) | 2010.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