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결산수정사항
1). 자산부채에 관한 결산수정
①현금과부족 등 미결산계정정리: 현금과부족, 과지급금. 과수금 등은 임시계정이다. 임시계정은 기말결산시 적절한 과목으로 대처해 주어야 한다.
②상품계정정리(매출원가산정 등): 기말실제 재고조사하여 매출원가 산정, 수량부족인 감모손실, 재고자산의 시가 평가 등을 한다.
③단기투자자산평가(단기매매증권): 단기매매증권은 무조건 공정가액법으로 한다.
예> 결산일 평가하기 전에 장부가액이 2,000,000원이고, 공정가액이 2,500,000원인 경우에는 2,500,000원인 공정가액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장부가액이 공정가액으로 평가되려면
차변> 단기매매매증권 500,000원 / 대> 단기투자자산의 평가이익(영업외 수익) 500,000원
만약 단기매매증권의 장부가액이 2,000,000원인데 기말시가가 1,800,000원인 경우 200,000원이 하락 되였음으로 200,000원을 평가손실로 계상한다.
따라서 차변> 단기매매증권 평가손실 200,000원 / 대> 단기매매 증권 200,000원 차감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기매매증권이 공정가액으로 평가한다.
④수취채권의 대손액추산: 회계기말에는 일반적인 상거래인 매출채권, 일반 상거래가 아닌 대금 등
채권에 대해서 회수가 불확실한 금액을 계상한다. à 불확실한 금액의 상각은
차변> 대손 상각비 **** / 대> 대손 충당금 ****
⑤유형자산의 감가상각: 건물, 기계장치, 설비자산, 비품, 차량 등. 단 토지나 건설중인 자산은 감가상각 하지 않는다.
차변> 건물, 설비자산의 감가상각비 **** / 대> 감가상각 누계액 ****
⑥무형자산의 감가상각: 당연히 상각한다.
⑦충당부채의 설정: 추정부채가 해당된다.
예> 퇴직급여 충당부채, 차> 퇴직급여 *** / 대> 퇴직급여 충당부채 ****
⑧기타: 인출금 등이 해당된다.
2). 수익비용(손익)에 관한 결산수정: 현금주의 수익. 비용 (항상출제2문)
è 발생주의 수익. 비용으로 전환하는 것. ※이연이란 차기로 넘기는 것을 이연이라 한다
⑴수익의 이연(미경과 수익): 수정분개
① 08. 9/1 현금 240,000 / 임대료 수익 240,000
② 08. 12/31 임대료수익 160,000 / 선수임대료 160,000 < 1년 240,000원 따라서 160,000원은 차기분>
(결산일) (수익으로 인식) (부채로 인식)
※ 240,000 Χ 8개월/12개월 = 160,000원 (12개월 중 9월에서 12월까지 4개월만 올해것이으로)
따라서 차변에서 수익 160,000원을 차감해 준다. 대변에는 임대료를 미리 받았다 하여 선수임대료라는 부채로 인식해 주는 수정분개가 이루어 지는 것이 수익의 이연에 관한 사항이다.
⑵비용의 이연(미경과 비용): 비용의 이연에 관한 수정분걔
① 08. 11/1 보험료 120,000 / 현금 120.000으로 지불한 경우 이다.
② 08. 12/31 선급보험료 100.000 / 보험료 100.000 <차기분= 1년분 120,000 × 10월/12월 =100,000>
※ 120,000 Χ 10개월/12개월 = 120,000원. 선급보험료는 자산으로 차변에 계상한다.
⑶수익의 예상(발생): 예상수익이 발생했음으로 더하기 한다.
① 08, 7/1 (대여일) 단기대여금 1,000,000 / 현금 1,000,000
② 08, 12/31(결산일) 미수이자 60,000 / 이자수익 60,000 à 수정분개하는 것이 수익의 예상에 관한
(자산) (수익으로 인식) 수정분개이다.
※ 6개월분 이자= 대여금 1,000.000 × 연12% × 6/12 = 60,000원
⑷비용의 예상(발생)
① 08, 7/1(차입일) 현금 1,000,000 / 단기차입금 1,000,000(연 10%로 차입하고 이자는 내년에 원금상환하면서 지급하기로 한 경우)
발생이자는 2008년 6개월치 이자가 발생했다. 이에 대한 비용의 예상에 대한 수정분개는
② 08, 12/31(결산일) 이자비용 50,000 / 미지급이자 50,000
6개월분 이자 = 1,000,000 × 10% × 6/12 = 50,000원
3). 소모품결산정리: 소액이므로 자산이 아닌 비용처리도 가능하다. 비용처리 했다는 것은 보수주의 관점이다.
⑴구입시 자산처리 방법에 따라 결산시 수정분개에서 조금 차이가 있다.
① 08, 11/1(구입시) 소모품(자산처리 한 경우) 100,000 / 현금 100,000
12월 결산일에 사용하고 남은 미사용품이 40,000원 만 있는 경우에는 사용한 60,000원은 비용처리 하는 수정분개한다.
② 08,12/31(결산시) 소모품비(사용목적:비용) 60,000 / 소모품 60,000
⑵구입시 비용처리: 소액이고 중요하지 않은 경우 비용처리한다.
① 08,11/1(구입시) 소모품비(비용처리 한 경우) 100,000 / 현금 1000,000
결산일에는 미사용액 40,000원을 자산으로 수정분개하는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② 08, 12/31(결산시) 소모품(미사용금액: 자산) 40,000 / 소모품비 40,000
※손익에 관한 결산정리사항 요약
①수익의 이연(미경과 수익)
12/31 결산일 수익 **** / 선수수익(부채) **** -à 기존의 수익(수익에서 차감함으로)에 대해 감소를 가져온다.
②이용의 이연(미경과 비용)
12/31일 결산일 선급비용(자산) **** / 비용(차감처리) **** -à 기존에 비해 순이익 증가.
③수익의 예상
12/31일 결산일 미수수익(자산) **** / 수익 **** -à 기존에 비해 순이익 증가
미수수익 당기분에 발생한 수익이 미수되었다는 것이다.
④비용의 발생
12/31일 결산일. 비용 **** / 미지급비용(부채) **** -à 순이익 감소
⑤소모품 정리
㉠구입시 자산처리: 12/31일 결산일 소모품비(비용) **** / 소모품 **** -à 순이익 감소
사용한금액을 비용으로 처리하고, 남은 금액은 자산으로 처리되므로 순이익은 감소한다.
㉡구입시 비용처리: 12/31일 결산일 소모품(자산) **** / 소모품비(비용) **** -à 순이익 증가
남은 금액을 자산으로 처리함으로 순이익은 증가한다.
4). 현금주의 발생주의 à 중요함
⑴현금주의란: 현금을 수취한 시점에서 그 금액을 수익으로 인식하고, 현금을 지출한 시점에 그 금액을
비용으로 인식하는 방법
⑵발생주의란: 현금의 수지와 관계없이 경제적 효익이 발생한 기간에 수익. 비용으로 인식하는 방법
⑶따라서 기업회계에서는 발생주의를 원칙으로 하고있다. 수익과 비용이 발생한 것은 그 회기중에
처리하고 나머지는 이연시킬 것. 결산때가 되면 기말정리사항에 비용을 이연시킨다.
⑷발생주의의 손익구하는 방법 4가지
①비용의 이연은 비용에서 차감하여 자산으로 만든다.
30.000원의 보험료를 대변에 쓰고 선급비용이라 명한다.
②비용의 예상은 비용에 가산하고 부채로 한다.
차변에 보험료 20,000 / 대변에 미지급금 20,000
③수익의 예상은 수익에 가산하고 자산으로 처리한다.
차변에 미수수익 20,000 / 대변에 임대료 20,000
④수익의 이연은 수익에서 차감하고 부채로 처리한다.
차변에 임대료 80,000 / 대변에 선수임대료 80,000(미리 받은 임대료)
※소모품: 품/비, 비/품에서 – 품으로 처리했으면 자산이니까. 사용한 것은 비용처리
- 비용으로 처리했으면 비용이니까. 사용한 것은 자산처리한다.
⑸현금주의 순이익. 비용에서 발생주의 수익. 비용으로 조정
수익 a/c(임대료 등)
차기분à 당기선수수익 40,000. 전기전순수익 20,000 à 현금주의에 가산한다.
12/31 손익(발생주의) 140,000. 기말미수수익 10,000 à 당기미수수익으로 가산한다.
발생주의에 따른 손익임으로 손익계산서(i/s) 대변에 기록한다.
비용 a/c (보험료 등)
기말 선급비용 20,000 à 차기분이다. 차감
전기말에 미리선급됨à 전기 선급비용 30,000. à 당기분에 해당된다.
당기분 <-- 당기말에 미지급비용 10,000. 12/31 손익 100,000. (발생주의 비용으로 i/s 차변에
\160,000. \160,000. 표시).
현금주의에 의한 손익계산서(i/s)è 신뢰성은 있으나 정확한 기간손익이 되지 않는다.
당기순이익 30,000 à 수익이 비용을 초과함으로 이를 당기순이익으로 한다.
\150,000. \150,000
※정확한 손익계산을 위해 발생주의로 기간손익을 계산해야 한다.
발생주의에 의한 손익계산서(i/s) è 기간의 손익은 정확히 계산한다.
당기순이익 40,000.
\ 140,000. \140,000
따라서 발생주의 손익이 경제사건을 반영한 정확한 기간주의 손익이 된다.
※ 우리나라 기업회계기준은 현금주의가 아닌 발생주의를 택하고 있다. 기간중에 현금주의를 발생주의로 전환하여야 한다. 현금주의냐 발생주의냐에 따라 수익, 비용이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당기순이익도 다르게 나타나다.
⑹수정전 당기순이익을 조정하여 수정후 당기순이익으로 한다. à 계속 출제
①수정전당기순이익
②가산할 수정사항 들이다. è 자산과 수익은 증가되고, 비용과 부채는 감소한다.
: 가산항목에 들어가는 것은 수정하므로써 자산이 증가되는 것, 수정함으로써 수익이 증가되는 것.
수정함으로써 비용이 감소. 수정함으로써 부채가 감소되는 것도 가산할 수정사항이다.
ⓐ기말미수수익 계상: 차변> 미수수익(자산) **** / 대변> 수익 *** à 따라서 수익이 증가된다.
ⓑ기말선급비용 계상: 차> 기말선급비용(자산) *** / 대> 비용에서 차감하여 수정 à 수익이 증가
ⓒ미사용 소모품 인식 계상: 기간중에 소모품비로 100,000원이 계상된 경우, 기말에 소모품 미사용액을 40,000원 자산으로 하면 차변> 소모품 40,000원 / 대변> 소모품비 40,000원 함으로 비용이 40,000원 감소하고 차변의 자산인 소모품이 40,000원 증가함으로 순이익이 증가된다.
ⓓ전기오류수정 이익(중대한 오류는 제외) 계상: 신뢰성을 손상한 중대한 오류는 전기이월 미처분이익에서 따로 조정하기 때문에 제외한다.
전기오류수정도 영업외 이익이기 때문에 이를 수정하면 순이익이 증가한다.
③차감할 수정사항 è 자산. 수익은 감소. 비용, 부채는 증가는 차감할 사항이다.
:자산이 감소되는 것, 수익이 감소되는 것, 비용은 증가되고, 부채도 증가되는 차감할 수정사항이다.
ⓐ기말 미지급비용 계상: 차변> 비용(자산) *** / 대> 미지급비용 *** --. 순이익은 감소된다.
ⓑ기말 선수수익 계상: 차변> 수익에서 차감 ** / 대> 순수수익에서 차감 ** à 부채가 증가한다.
ⓒ사용액 소모품비 인식 계상: 비용으로 인식 인식된 금액만큼 수익이 감소된다.
ⓓ대손액추산인 대손상각비 계상: 비용이므로 비용이 증가한다.
ⓔ감가상각비 계상: 비용이므로 비용이 증가한다.
ⓕ단기매매증권 평가손실 계상: 비용이므로 비용이 증가한다.
④수정후 당기순이익: 가산하고 차감한 결과 이다. = ① + ② - ③
예> 수정전 당기순이익을 수정하여 수정후 당기순이익으로 계상한 문제임
문제1>. 수정전 당기순이익 1,200,000원.
수정사항으로 기말상품 25,000원 과소계상. 이자수익 50,000원 계상누락.
광고료 미지급금 23,000원 계상누락. 보험료 선급금 21,000원 계상누락.
감가상각비 40,000원 과대계상.
물음: 수정 후 정확한 당기순이익은?
풀이>. 수정전 당기순이익 1,200,000원
기말상품 과소계상 (+) 25,000원 à 기말상품이 과소된 것을 원래대로 하면 증가한다.
이자 수익 누락 (+) 50,000원 à 누락된 미수이익을 계상하면 순이익은 증가된다.
광고료 미지급금 누락 (-) 23,000원 à 지급되지 않은 광고료가 지급됨으로 순이익은 감소
보험료 선급금 누락 (+) 21,000원 à 먼저지급한 보험료를 계상하면 자산은 증가
감가상각비 과대계상 (+) 40,000원 à 과대지급된 것을 수정하면 비용이 감소로 순이익증가.
문제2>. 수정 후 순이익이 200,000원
수정사항으로 선급보험료 10,000원. 미지급 급여 15,000원. 선수이자 20,000원
미수임대료 25,000원
물음: 수정전 순이익은 얼마인가?
회사는 현금으로 받은 것을 수익으로, 현금으로 지출한 것을 비용으로 처리한다.
풀이>. 수정 전 순이익은. ? 따라서 200,000원이 된다.
선급 보험료. (+) 10,000원 à 순이익이 증가된다.
미지급 급여. (-) 15,000원 à 미지급 급여는 비용이 증가함으로 차감한다.
선수이자. (-) 20,000원 à
미수 임대료. (+) 25,000원 à 자산이므로 계상 하면 수익이 증가한다.
'건축설비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산 본철차(장부마감) (0) | 2010.08.03 |
---|---|
정산표 작성 (0) | 2010.08.03 |
거래의 기장과 복식부기의 기본원리 (0) | 2010.08.03 |
회계의 순환과정(3) (0) | 2010.08.03 |
경영성과와 손익계산서 (0) | 2010.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