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거래의 기장
1). 거래: 자산 부채 자본의 화폐금액상의 증감변동을 발생시키거나, 수익과 비용에 영향을 비치게 되는 것을 회계상 거래라 한다.
①장부에 기장한다 하여 부기상 거래라 한다.
화재나 도난 등이 발생하여 자산이 소실되는 것도 회계상 거래가 된다.
거래가 발생하면 à 분개 à 전기 à 결산의 순서이다.
②거래가 아닌 것은? 자산, 부채, 수익, 비용 등의 변동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단순 매매계약만 채결하다. ㉡임대차계약을 채결하다. ㉢매입주문을 하다. ㉣직원을 채용하다.
5. 복식부기의 기본원리
1). 대차평균(평형)의 원리
아무리 많은 거래가 이루어져도 계정전체 차변합계금액과 대변의 합계금액은 반듯이 일치된다.
2). 거래의 이중성과 대차평형의 원리
①거래의 이중성
회계상의 모든 원리는 자산. 부채. 자본의 증감과 수익. 비용이 발생되는 왼쪽요소와 오른쪽
요소가 서로 결합하여 발생한다.
㉠거래의 이중성
4월10일 외부로부터 단기차입을
4/10 차변> 현금이란 자산 5,000,000원 / 대변> 부채로 단기차입금 5,000,000원. à외쪽 차변과 오른쪽 대변에 동일한 금액으로 변동이 초래되는 것을 거래의 이중성이라 한다.
㉡ 따라서 거래의 이중성에 의해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차변의 합계와 대변의 합계금액이 같게 된다
이를 대차평형의 원리 또는 대차평균의 원리라 한다.
②복식부기: 복식부기는 차변과 대변이 동일한 금액으로 변동한다는 거래의 이중성을 근본원리로 하여, 차변과 대변의 항목을 나누어서 각각 금액을 기입하는 이중기장을 복식부기라 한다.
또한 복식부기는 대차평균의 원리가 적용되어 불일치가 되면 판단할 수 있게 된다
3). 분개: 그 거래를 총계정원장의 ①어느 계정에
②어느 변에
③얼마를 기록할 것인가 명령하는 것이다.
분개의 법칙은 계정기입법칙과 일치한다.
①자산의 증가는 차변에. 자산의 감소는 대변에 기록한다.
②부채의 감소는 차변에. 부채의 증가는 대변에 기록한다.
③자본의 감소는 차변에. 자본의 증가는 대변에 기록한다.
④비용의 발생은 차변에. 비용의 소멸은 대변에 기록한다.
⑤수익의 소멸은 차변에. 수익의 발생은 대변에 기록한다.
4). 전기: 분개에 의해서 나타난 계정관목과 그 금액을 해당계정과목의 장부(총계정원장)에 옮겨
적는 절차이다. 기록방법은 날자. 내용. 금액을 기록한다.
예>.
(1) 분개: 차> 현금 1억. / 대> 자본금 6억
건물 5억
(2) 계정기입(전기). 현금.
건물
자본금
했으므로.
5). 회계장부: 기록부
(1) 주요부: 분개장
총개정원장: 각각의 개정과목으로 기입한다.
(2) 보조부: 보조기입장: 현금출납장. 매입장. 매출장, 받을 어음기입장. 지급어음 기입장 등
보조원장: 상품재고장. 매출처원장(외상매출거래처원장). 매입처원장(외상매입처거래원장).
6). 결산: 결산의 절차는 예비절차. 본절차. 후절자로 나눈다.
⑴예비절차: ①시산표작성. ②재고조사표 작성(결산수정사항). ③결산수정. ④정산표작성.
⑵본절차: 장부마감.
수익. 비용계정마감. 자산 부채 자본계정마감. 분개장마감. 이월시산표작성.
⑶후절차: 보고서작성(재무제표): ①대차대조표작성. ②손익계산서작성. ③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작성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 작성. ④현금흐름표작성. ⑤자본변동표작성. ⑥주석
⑷결산예비절차: 시산표작성. 재고조사표작성
①시산표작성: 장부기입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서 대차평형의 원리에 의해서 작성된 것이다.
시산표란: 원장의 각계정좌에 전기가 정확한가를 검증하기 위해 작성되는 계정집계표를 말한다.
시산표는 대차평균의 원리에 의해서 작성된다. à 기장성의 오류를 검증하는 표이다.
시산표의 종류: 합계시산표: 차변항목의 합계액과 대변항목의 합계액을 합산하여 같아야 한다.
총거래액이다.
차변항목이고 -------à 대변항목이다.
잔액시산표 등식: 기말자산 + 총비용 = 기말부채 + 기초자본 + 총수익
기초자본= 단기순손익이 포함되지 않은 금액이다.
기초자본 + 순손익 = 기말자본이다
기말자본 + 기말부채 = 기말자산이 된다.
잔액만 모아서 기록한 것이다.
장부기입이 정확했다면 일치가 되어야 한다.
시산표에는 장기 순손익이 표시되지 않는다.
②시산표에서 발견할 수 있는 오류
- 대차가 불일치한 경우.
- 대차거래가 한쪽만 누락.
- 대차거래가 한쪽만 이중기입
- 대차가 계산상의 오류 또는 합산상의 오류가 발생한 경우.
시산표에서 발견할 없는 오류: 대차가 일치되기 때문에 발견할 수 없다.
- 대차 이중분개, 대차 이중전기. – 대차가 누락. – 대차가 동일하게 틀린 금액으로 기입
- 대차 바꾸어 기장. – 개정과목의 혼동.
③시산표의 오류발견순서:시산표 à 이기 à 총계정원장 -à 전기 à 분개장 순이다.(장부마감의 역순)
시산표의 검토 à 이기확인 à 총계정원장검토 à 전기검토 à 분개검토 à 거래검토 순이다.
⑤재고조사표작성: 재고조사에 관한 장부기록과 그 실태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그 수량. 품질 등을 실
제로 조사하고 그 가격을 적당하게 평가 수정하는 문서를 말함.
⑥재고조사표에는 ⓐ자산, 부채 ⓑ비용, 수익 ⓒ기타로 나눌 수 있다.
자산. 부채. 자본은 경제적 가치가 있는 모든 물건과 권리로써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총자산을
말하고, 부채는 자산 중 남에게 빌린돈을 의미하며, 자본은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금액을
말한다.
⑦가지급금: 실제 현금의 지출은 있었지만 거래의 내용이 불분명하거나 거래가 완전히 종결되지 않아
계정과목이나 금액이 미확정인 경우에 그 지출액에 대한 일시적인 채권을 표시하는 과목이다.
가지급금은 임시계정으로 결산 때까지 남아있으면 안 된다.
가수금: 입금이 되었으나 내용을 모르는 경우
7). 기말결산 정리사항
(1) 기말결산 정리사항의 뜻: 재고조사표가 기말결산 정산표에 표시가 되어야 한다.
- 장부금액과 실제금액의 차이가 발생할 때 장부금액을 실제금액으로 조정해주는 사항이다.
- 기말결산정리사항을 조정하는 이유는 결산일 현재 올바른 재무상태를 나타내 주어야 하고, 일정기간의 정확한 기간손익을 나타내 주기 위해서 기말결산정리를 한다.
(2) 결산정리사항의 구분
①자산, 부채에 관한 결산정리사항(자산에 관한 결산정리사항)
- 설비자산인 건축물, 기계장치 등은 기말에 감가상각한다.
- 수취채권에 대해서 기말에 회수가 불확실한 경우 대손충당금을 설정한다.
- 무형자산의 상각
- 수정부채인 충당부채도 계상한다.
②수익. 비용에 관한 결산정리사항(손익에 관한 결산정리사항)
- 손익의 이연: 수익의 이연= 수익을 차기로 이연 시키는 것이다 à 따라서 순수수익을 계산한다.
비용의 이연= 차기비용인 선급비용을 계산하는 것이다.
- 손익의 발생(예상): 수익의 예상= 단기수익에 가산되는 미수수익을 계산하는 것.
비용의 예상= 단기비용에 가산되는 미지급이용을 계산하는 것.
- 소모품 정리
수익. 비용의 결산정리사항은 현금주의 수익비용을 발생주의 수익비용으로 조정해 주는 것이다.
è 현행 기업에서 현금으로 임대료 등 비용을 받으면 수익으로 기록하고, 보험료 등을 현금으로 지급하면 비용으로 기록한다. 그래서 수익과 비용을 현금주의로 만 기록해다. 그러나 이러한 현금주의는 정확한 손익계산이 이뤄 지지 않는다. 단지 이러한 현금주의는 신뢰성을 갖는 손익으로 만 계산되지 않는 다. 그러나 정확한 손익이 계산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손익을 계산해 주기 위해서는 발생주의 회계로 계산을 해주어야 한다.
현행 우리나라 회계처리 기준도 발생주의 회계를 따르고 있다.
※발생주의란 현금의 수입. 지출과 상관없이 경제적 발생사실에 기초해서 손익계산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자산수정에 관한 결산수정. 수익비용에 관한 결산수정이 다 표시되는 표가 재고조사표이다.
(3) 기말결산 수정사항이 아닌 것은? 출제예상
①은행계정
②실제 대손액처리: 특정일자에 대손액이 처리 되였다면 아래와 같이 분개한다.
차변> 대손충당금 **** / 대변> 매출채권 **** à 기간중에 처리해주는 절차이다. 결산수정사항은 아니다.
③각종 자산처분 손익: 처분시점에서 이루어 지는 것이지 결산시점에 이루어 지는 것은 아니다.
④기중에 상품매입대금을 미리 선급해주는 것: 기중에 선급받을 때 처리한다.
4/5일 차> 선급금 *** / 대> 현금 ****
⑤판매대금을 미리 선수 받은 경우: 차변> 현금 *** / 대변> 선수금 ***. 기중에 선수받을 때 처리
⑸장부마감: 같으면 약식으로 두줄 긋는다. 이를 마감되었다 한다.
①집합손익계정을 설정한다.
②수익과 비용계정을 대체(계정에서 계정으로 이동) è 계정에서 계정으로 옮길 때는 보고한다(반대
편에). 즉, 대변일 때는 차변에 기록하고, 차변일때는 대변에 기록한다.
③당기순손익을 자본계정으로 대처
④자산, 부채의 자본계정 마감.
⑹기말결산수정사항이 아닌 것은?
①은행계정조정표 작성
②실체대손액처리: 차변 대손충당금 **** / 대변 매출채권 ****
③각종자산처분손익
'건축설비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산표 작성 (0) | 2010.08.03 |
---|---|
결산수정사항 (0) | 2010.08.03 |
회계의 순환과정(3) (0) | 2010.08.03 |
경영성과와 손익계산서 (0) | 2010.08.03 |
재무상태와 경영성과(2) (0) | 2010.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