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비/회계

재무상태와 경영성과(2)

아우라지. 2010. 8. 3. 09:49

재무상태와 경영성과(2)

1. 재무상태와 대차대조표

    재무상태란 일정시점의 자산의 상태. 부채의 상태, 자본의 상호관계를 나타내 주는 것이

    재무상태를 흔히 재정상태라고 한다.  è 이를 대차대조표로 나타낸다.

 

2. 자산:

 1). 자산의 정의: 어느 기업실체가 과거의 거래와 사건의 결과로써 현재의 기업실체에 의해 소요되고 미래의 경제적 효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을 말함.

 

 2). 자산의 분류

유동자산: 대차대조표일 기준 1년내에 현금화가 가능한 것(. 1년이 넘더라도 영업활동 결과(정상영업주기 내: 매출채권, 재고자산)에 의한 것이면 유동성자산이다).

    당좌자산: 판매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현금 및 현금성자산.

②당기투자자산(단기매매증권, 단기 예금등).

③매출가능증권(일반적 상거래 상에서 발생한 외상매출금, 자금흐름).

④선급비용(선급보험료, 선급임차료 등).

⑤이연법인세자산(1년 내 유동부분만의 당좌자산).

⑥기타(미수금. 선급금. 미수수익): 중요하면 개별표시, 그렇지 않으면 통합표시한다.

         재고자산: 정상적인 판매과정을 거친 것

     상품(외부에서 구입한 것). ②제품(자사 생산품). ③반제품.

④제공품(제조과정에 있는 것). ⑤원재료. ⑥저장품. ⑦기타.

 

  비유동자산: 1년 후에 현금화가 되는 장기자산.

 투자자산: 투자목적의 자산. 비영업용 자산을 말한다.

①투자부동산.

②장기투자증권(매도가능증권. 장기예금. 만기보유증권)à 중요하면 개별표시,

③지분법적용 투자주식à 중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식: 반드시 개별표시한다.

④기타(장기대여금 등).

       유형자산: 영업용자산으로 사용목적이 있고, 구체적 물리적 실체가 있어야 함.

                ①토지. ②설비자산(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③건설중인자산. ④기타 자산(비품 등)

       무형자산: 영업용으로 사용가능하고 구체적 실체가 없는 자산

                ①영업권. ②산업재산권(특허권. 실용신안권. 저작권). ③광업권. ④어업권. ⑤기타

       기타 비유동자산: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이외의 장기투자 자산이다.

              ①이연법인세자산(장기부분).

②기타(1년 초과하는 장기매출채권. 장기미수금. 임차보증금. 장기선급금. 장기선급비용 등)--> 중요하면 개별표시, 그렇지 않으면 통합표시 한다.

 

3. 부채:

 1). 부채의 정의: 기업이 부담하는 채무로 어느 특정한 기업실체가 과거의 거래나 경제적 사건의 결과로서 미래의 자원의 유출 또는 사용이 예상되는 현제의 의무이다. (즉 기업이 미래의 일정한 기간 내에 지급해야 할 각종 재무를 말함).

 2). 부채의 분류

유동부채: 대차대조일로부터 1년 이내 상환해야 할 부채

당기차입금. 매입채무(일반적 상거래상의). 미지급금. 미지급 법인세. 미지급 비용. 기타.

비유동부채: 대차대조표일로부터 상환기간이 1년 이상인 것.

사채. 전환사채. 신주이수권부사채. 장기차입금. 퇴직급여충당부채. 기타.

 

 

4. 자본

 1). 자본의 정의: 자본= 자산총액 부채총액을 차감한 잔여 지분을 말한다.

 2). 자본의 분류

자본금: 발행주식의 액면총액(보통주. 우선주 자본금을 따로 구분해 주어야 한다)

자본잉여금: 자본거래(주식관련 거래)에서 발생한 잉여금

    ①주식발행초과금: 주식을 액면초과해서 발행한 금액

②기타 자본잉여금: 감자차익이나 자기 주식처분이익을 말한다.

자본조정금: 임시적 성격의 자본 à 현행 기업회계에서는 ①②③④까지 차감표시 항목과⑤의 가산항목이 있다.

     주식할인발행차금. ②자기주식취득가 배당건설이자. ③감자차손.

④자기주식처분손실은 자본조정차감항목이다.

⑤가산항목은 신주청약 증거금. 주식매수선택금 이다.

이익잉여금: 법적적립금. 임의 적립금. 미처분 이익잉여금(전기에서 이월미처분 이익잉여금, 단기순익)

기타 포괄손익누계액: 매도가능증권 평가손익. 해외사업환산손익. 파생상품평가손익.

 

※대차대조표의 작성기준: 총액주의. 유동성배열. 표시주의  è 암기

       대차대조표는 일정시점의 기업총자산 부채 자본의 상태인 재무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보고서,

        기업의 재무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다. 대차대조표 필수기제사항은 회사명. 작성일자.

단위(현금의 단위).

     ※대차대조표 구조(B/S: Balance sheet)

. 유동자산

 

 

. 비유동자산

 

 

 

 

. 유동부채

. 비유동부채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자본조정금

. 이익 잉여금

. 기타 포괄손익

 

      대차재조표 작성시 자산은 차변에 기입. 부채. 자본은 대변에 기입한다.

      대차대조표 등식: 자산 = 부채 + 자본.    기말자본 = 기초자본 + 당기순이익

    <작성기준)

      ①총액주의로 표시: 자산과 부채를 서로 상계하지 않고 각각 총액으로 표시한다.

②유동성배열: 유동성과 비유동성을 구분하여 표시하고, 유동성의 자산부터 먼저 표시한다.

③구분표시

'건축설비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산수정사항   (0) 2010.08.03
거래의 기장과 복식부기의 기본원리  (0) 2010.08.03
회계의 순환과정(3)  (0) 2010.08.03
경영성과와 손익계산서  (0) 2010.08.03
재무회계의 개념체계  (0) 2010.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