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 설비
1. 소화설비
1). 화재의 종류
(1) 화재의 3요소: ①가연물질(연료). ②산화재(산소 또는 공기). ③점화원(열 또는 온도).
(2) 소화방법: ①파괴(제거)소화법. ②질식소화법. ③냉각소화법.
(3) 화재의 종류:
- A 급 화재: 일반화재. B급 화재: 유류화재. C급 화재: 전기화재
- D급 화재: 금속화재. E급 화재: 가스화재
2). 소화기
(1) 소화기의 설치기준: ①설치높이: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
②설치거리: 보행거리 20m 마다(대형은 보행거리 30m마다) 설치.
(2) 옥내소화전
① 표준 방수압력: 1.7 kg/㎠ 이상.
② 표준 방수량: 130 ℓ/min 이상.
③ 방수능력: 20분간 방수할 수 있어야 함.
④ 저수량: 2.6 ㎥ х n(가정 많은 층의 옥내소화전 개수: 단 최고 5개 까지 적용)
즉, 130 ℓ/min × 20분간× 최대 5개 = 13,000 ℓ = 13㎥
⑤
⑥ 유효반경: 25m 마다 1개소씩 설치한다.
⑦ 펌프는 전용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토출측에는 압력계를 달아야 하며, 흡입측에는
연성계나 진공계를 설치 한다.
(3) 옥외 소화전
① 표준 방수압력: 2.5 kg/㎠ 이상.
② 표준 방수량: 350 ℓ/min 이상.
③ 방수능력: 20분간 방수할 수 있어야 함. 즉, 350 ℓ/min × 20분× 최대 2개 = 14,000 ℓ
④ 저수량: 7 ㎥ х n(옥외소화전 개수는5개 까지 적용)
⑤
⑥ 유효반경: 40 m 마다 1개소씩 설치한다.
(4) 스프링쿨러설비: 초기화재에 절대적이다.
가. 스프링쿨러 해드의 3요소:
프레임 = 몸체. 가용편 = 휴즈(67~72℃가 표준). 디플렉터= 반사판
나. 해드의 종류
폐쇠형. 개방형. 설치위에 따라 상향형, 하향형. 벽면에 설치하는 측벽형.
다. 스프링쿨러설비의 기준:
(ㄱ) 표준방수압력: 1 .0 kg/㎠ 이상.
(ㄴ) 표준 방수량: 80 ℓ/min 이상.
(ㄷ) 방수능력: 20분간 방사할 수 있어야 함.
(ㄹ) 저수량: 1.6 ㎥ х n(스프링쿨러 헤드 아프트는 10개. 복합상가 또는 11층 이상 건물은 최대 30개까지 만 적용) 즉, 80 ℓ/min × 20분× 최대 30 개
(ㅁ) 헤드 1개당 설치간격 è 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일 때는 2.96 m.
내화구조인 건축물은 3.24m 이고,
아파트 등 공동주택은 4.52m
(ㅂ) 헤드 1개당 방호면적 è 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일 때는 8.76 ㎡.
내화구조인 건축물은 10.56㎡ 이고,
아파트 등 공동주택은 20.43㎡
라. 개방형 스프링쿨러설비의 특징(참조)
(ㄱ) 폐쇄형으로 유효하게 소화할 수 없거나 접근이 어려운 장소에 사용한다.
(ㄴ) 감지기에 의해 작동되거나 소방차 송수구와 연결하여 구역전체를 동시에 살수할 수 있다.
수동으로 스프링쿨러 펌프를 가동하여 동시에 살수한다
마. 폐쇄형 스프링쿨러설비의 특징(참조)
(ㄱ) 습식: 스프링쿨러 분사노즐 직선에 설치된 헤드까지 물이 차 있는 것으로 헤드에는 프레임.
가용편. 디프렉타로 구성되어 화재시 이들이 작동하여 살수하게 된다.
습식은 배관에 항시 물이 차있어 즉시 소화가 가능하나 동파의 우려가 있다.
- 프레임: 헤드의 몸체.
- 가용편: 65 ~ 72도 사이에서 녹아서 밸브가 열려 방사하게 한다.
- 디프렉타: 살수의 방사 각을 조절한다.
(ㄴ) 건식: 스프링쿨러 헤드에 물이 차있는 것이 아니라 질소가스 또는 압축공기를 봉입시킨다.
물은 배관의 입구에 설치된 알람밸브까지만 차 있다.
화재시 열에 의해 가용편이 녹으면 봉입가스가 빠지면서 알람밸브의 전.후 압력차에 의해 알람밸브가 열려 물을 살수한다.
(즉, 알람밸브전단의 소화수 압력과 후단 봉입가스의 압력은 같다.)
- 화재시 자동으로 밸브가 열려 소화하는 방식이고, 겨울에 동파의 위험이 없다.
(ㄷ) 준비작동식: 평상시에는 건식으로 있다 화재발생시 습식으로 되는 것.
준비작동밸브(프리액션밸브)까지 물이 차 있고. 스프링쿨러 헤드 사이에는 질소가스나 공기가 봉입되어 있으며, 그 중간에는 화재감지기가 부착되어 있어 화재발생시 감지기가 감지하여 수신기고 화재발생신호를 전송하면 수신기에서 준비작동밸브에 부착된 전자밸브를 작동시켜 스프링쿨러 헤드까지 물을 체워주고, 실제화재시는 가용편이 녹아 살수되는 방식이다.
- 준비작동밸브까지 물이 차있고 화재시 감지기가 작동하여 발브를 열어 송수한다
아. . 스프링쿨러설비의 특징
- 초기 소화율이 높고 유지관리 비용이 적게 든다.
- 자동소화설비로 경보기능도 있고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 초기 투자비가 많이 든다.
(5) 트렌처설비
해드 1개당 표준 방수량: 80 ℓ/min 이상
방사압력이 1 kg/㎠ 이상으로 건물에서 건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건물의 지붕, 벽체, 창틀에 다량의 물을 살수하여 수막을 형성하고 이 수막에 의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① 트렌처설비의 역할: 건물, 외벽, 창, 지붕 등에 수막의 형성으로 인접 건물로부터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여 준다.
② 트렌처설비 헤드의 설치간격: 노즐과 노즐 사이의 수평거리: 2.5m. 수직거리 4m 이하마다 1개씩 설치
③ 보상감지기: 정온식과
2. 연결송수관: 소방대 전용 소화설비이다.
1). 방수구: 매층 옥내 설치된다. (3층이상의 건물에 설치한다.)
2). 송수구: 1층 외벽에 설치 à 쌍구형송수구(싸이어 이즈 컨넥션)
① 표준방수압력: 3.5 kg/㎠ 이상.
② 표준 방수량: 450 ℓ/min 이상.
③
④ 설치높이: 0.5 ~ 1 m 정도.
⑤ 유효반경: 50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한다.
3. 경보설비
1). 열감지기
(1). 정온식 감지기: 금속팽창계수를 이용한 감지기로 보일러실, 주방 등 온도변화가 심한 곳에 주로
이용한다.
바이메탈의 특징: 열에 의해 팽창 수죽성이 크므로 열을 가하면 퍼졌다가 열을 제거하면 구부러지는 특성이 있다.
(2).
리스크 구멍에서 è 오작동 방지 한다.
(ㄱ) 화재시 실내온도 상승율이 일정한 값을 넘을 때 작동한다.
(ㄴ) 스포트형은 사무실, 거실 등에 사용되고, 분포형은 공장, 창고 등 넓은 곳에 사용
(ㄷ) 종류: 스파트형à 천정 높이 8m 미만인 장소에 설치
분포형 à 천정 높이 15m 미만의 넓은 공간에 사용한다.
(3). 보상식 감지기: 공기팽창(다이아프램의 성질을 이용)과 금속팽창을 같이 이용하는 방식으로 정온식과
(4). 연기감지기: 이온화식. 광전식.
연기감지기의 특징: 층고가 높은 계단. 강당. 무대 등 높은 천정(15m이상)에 사용한다
2). 전기화재 경보기: 전기화재의 원인이 되는 누전을 자동으로 신속히 알린다.
유도등: 회재시 피난을 쉽게하기 위해서 비상전원으로서 설치하는 조명설비.
조도는 1Lux 이상 되어야 한다.
3). 수신기: P형è 디지털타입. I형è 아날로그타입. M형.
1. 화재의 3요소: 가연물질(연료). 산화재(산소 또는 공기). 점화원(열 또는 온도).
2. 소화방법: 파괴(제거)소화법. 질식소화법. 냉각소화법.
3. 옥내소화전. 옥외소화전. 연결송수관의 방수압력과 방수량.
① 옥내소화전의 방수압력: 1.7 kg/㎠ 이상. 표준 방수량: 130 ℓ/min 이상.
② 옥외소화전의 방수압력: 2.5 kg/㎠ 이상. 표준 방수량: 350 ℓ/min 이상.
③ 연결송수관의 방수압력: 3.5 kg/㎠ 이상. 표준 방수량: 450 ℓ/min 이상
'건축설비 > 시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동주택 수송설비(엘리베이터) (0) | 2009.10.31 |
---|---|
공동주택 전기설비 (0) | 2009.10.31 |
공동주택의 가스설비 (0) | 2009.10.31 |
주택관리 공조냉동설비 (0) | 2009.10.31 |
공동주택의 난방설비 (0) | 2009.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