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적식 구조에서 시멘트블로구조와 돌구조
2. 시멘트블록 구조
1). 블록구조의 재료
(1) 접착재: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 블록강도의 1.3 ~ 1.5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 배합비는 1 : 3 ~ 1 : 5가 적당하다.
- 물의 중량은 시멘트 량의 60% ~ 70%
- 슬럼프값은 10cm 정도
2). 보강블럭조 쌓기: 통줄눈 쌓기를 한다. 블록구멍에 철근을 넣고 철근이 들어간 자리는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넣어 보강한다. 가장 튼튼한 구조이다. 3층 정도의 건물에 이용
3). 블록 쌓기 할 때 주의사항
- 모르타르의 강도는 블록강도의 1.3~1.5배 이상이어야 한다.
- 하루 쌓기 높이는 1.2~1.5m(6~7켜) 이내로 한다.
- 살 두께가 두꺼운 쪽이 위로 가게 쌓아야 접촉면이 많아지고. 하중분산에 유리하게 되고
모르타르가 접촉되는 블록 면에만 적당히 물을 축일 것.
※ 벽돌은 모든 면에 다 물을 축여야 함.
3. 돌구조
1). 석재의 종류
(1) 화강암: 바탕색이 진한 색이고, 경도 강도, 내마모성, 내구성이 우수하여 구조용이나 장식용을 많이 이용한다. 열에 약한 편임.
(2) 안산암: 강도. 경도. 내구성. 내화성이 우수하나 빛깔이 좋지 않고 광택이 없어서 구조재나
골재로 사용한다.
(3) 사암(응회암): 다공질로써 강도가 작고 흡수율이 높아 풍화 또는 변색하기 쉬우며 내구력이 약하다.
(4) 대리석: 광택 색깔이 아름답고 좋기 때문에 내부장식용이나 조각용으로 많이 사용되나 산. 열에 약해서
외장용으로는 곤란하다. 풍화 마모 내구성이 떨어진다.
(5) 점판암: 점토가 굳어서 된 암석을 말한다. 얆게 쪼개지므로 지붕재. 비석. 숫돌 등으로 사용된다.
(6) 사문석: 변성암의 변질되어 된 것으로 석질이 불균일하고 구멍이 있어 특수 장식용으로 이용한다.
2). 돌붙임 공법
(1) 습식공법: 구조체와 서재사이에 모르타르를 집어넣고 연결철물로 고정을 시켜서 일체화 시키는 것.
즉, 모르타르와 연결철물을 이용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으로 모르타르가 들어가므로 백화현상이
우려되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동해에 주의한다.
(2) 건식공법:
①앵커긴결공법 = 각종 앵커와 파스너를 독립적으로 설치해서 그 사이에 돌을 붙이는 것,
앵커로 고정하기 때문에 상부의 하중이 하부로 그대로 전달되지는 않는다.
공사기간이 짧고 백화의 우려가 없다.
※ 파스너 설치시 주의 사항: 석재 상부,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석재에 하부에는 석재의 지지용으로
이용되고, 상부에 연결되는 파스너는 석재의 고정용으로 이용된다.
②강재트러스 지지공법: 방청페인트 또는 아연도금 파이프를 구조체에 긴결시킨 후 여기에 석재를
파스너로 연결하여 부착시키는 공법.
3). 돌의 가공순서:
메 다듬 è 정 다듬 è 도드락 다듬 è 장 다듬 è 물 갈기 è 광내기
(혹 수기:메사용) (정이용). (도드락 망치). (금강사, 숫돌). (왁스이용)
※ 벽량(cm/㎡) = 내력벽 길이의 총합계(cm) / 그 층 바닥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