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냉동운전관리

냉동 사이클에 의한 냉동능력

아우라지. 2016. 10. 19. 10:39

※냉동 사이클에 의한 냉동능력



공 식

 

계 산 응 용

 

냉매순환량

 

V

 

G =


× ηv

 

v

 


G :
냉매순환량 kg/h
V :
피스톤 압출량 ㎥/h
v
: 압축기 흡입증기 비체적 ㎥/kg
η
v : 체적효율

 

 

V

 

 G =


× ηv

 

v

 

순환증기냉매의 체적

 

Q

 

Vg = V × G =


V

 

q

 


V
g : 순환증기 냉매의 체적(/h)
V :
흡입증기 냉매의 비체적( /kg)

 

 

이론적인 피스톤 압출량(piston displacement)
① 왕복동 압축기의 경우

 

π

 

Va =


D²ㆍLR×60

 

4

 


V
a : 이론적 피스톤 압출량(/h)
D :
피스톤의 직경 및 실린더의 내경(m)
L :
피스톤의 행정(m)
N :
기통수
R :
분당 회전수(r.p.m)

② 회전식 압축기의 경우

 

π

 

Va =


tn(D² - d²)×60

 

4

 

t : 회전 피스톤의 가스압축부분의 두께(m)
n :
회전 피스톤의 1분간의 표준회전수(r.p.m)
D :
실린더의 내경(m)
d :
회전 시스톤의 외경(m)

 

 


ηv : 체적효율

 

C

R =


 

V


R :
냉동능력(RT)
V :
시간당 피스톤 압출량(/h)
C :
압축가스의 상수

압축가스의 상수(C의 값)

가 스

압축기 기통 1개의 체적 5,000㎤이상

압축기 기통 1개의
체적 5,000㎤ 이하

NH

7.9

8.4

R -12

13.1

13.9

R -22

7.9

8.5

R - 13

4.2

4.4

R-500

11.3

12.0

프로판

9.0

9.6


R =Gq
G :
냉매수환향
q :
냉동효과

 

 

 

 

 

 



② 실제적인 소요동력:  N’= N / ηcㆍηm

N : 실제적인 소요동력(HP,kW)
N :
이론적인 소요동력

 

 


 



'직업 > 냉동운전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동 사이클에 의한 냉동능력-2  (0) 2016.10.19
Brine 냉각기의 운전기준  (0) 2010.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