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비/건축구조

건축구조 총론

아우라지. 2010. 8. 23. 21:25

건축구조의 총론

1. 건축물이란: 토지에 정착하는 공작물 중 지붕과 기둥 또는 벽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에

부수되는 시설물, 지하 또는 고가의 공작물에 설치하는 사무소, 공연장, 창고, 점포, 기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2. 건축구조의 용어

 1). 하중: 건축물에 미치는 물리적인 힘.

   (1) 장기하중

     - 고정하중(사 하중이라고도 한다): 건축물 자체(전체 중량의 90%~95%) à 건물의 수명이 다할 때가지

     - 적재하중(활 하중이라고도 함): 물건. 사람 등 à 건물의 수명이 다할 때가지

- 적설하중(눈 무게): 다설지역에서만 적용

   (2) 단기하중

     - 풍하중: 수평하중(횡하중)

     - 지진하중: 수평하중(횡하중) à 내진설계가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

- 적설하중(눈 무게): 다설지역에서만 적용

       ※횡하중(수령력): 지진하중. 풍하중.   나머지: 수직하중만 작용한다.

 

 2). 건축물의 분류

   (1) 구조에 따른 분류

     ①나무구조.       ②벽돌구조.          ③블록구조.          ④돌구조

⑤철근콘크리트 구조(RC구조).           ⑥철골구조.      ⑦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SRC구조)

  

   (2)구성양식에 따른 분류

① 가구식구조(짜마춤 구조) à 나무구조. 철골구조

     ② 조적구조(쌓아 올린 구조) à 벽돌구조. 블록구조. 돌구조.

       조적구조의 단점: - 균열발생(줄눈 부분에서).  습기가 차기 쉽다.   횡력에 약하다(수평력)

     ③ 일체식구조 à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 è 가장 우수한 구조이다.

     ④특수구조(입체식구조): 현수구조. 트러스트. 막구조.

        현수구조: 케이블의 인장력에 의해 하중을 견디도록 한 구조 -à 올립픽대교

㉡곡면식구조: 입체적으로 휘어진 앏은 판을 주변을 연결하여 공면처럼 만든 것을 공면식 구조.

. 부재를 여러 개 쪼개어 공면식으로 만든 것 à 시드니의 오페라하우스.

㉢내력벽구조: 보나 기둥없이 바닥판에 오는 하중을 내력벽에 의해서 견디도록, 또는 기초에 전달

              되도록 만든 구조. -à 아파트의 구조: 철근콘크리트 벽체에 의해서 하중을 기초로

                                    전달하겠끔 만든 것 è 보없이 내력벽으로 만 견디는 것

㉣아치구조: 돌 또는 벽돌식 구조의 개구부 위에 벽돌을 쌓을 때 하부에 받는 힘이 없기 때문에

            위에서 누르는 힘을 견디지 못함에 따라 반달모양으로 쌓아 압축력 만으로 하중을

            분산하여 힘을 견디게 한 구조.

 -à 하부에 발생하는 인장력은 없애고. 압축력의 분산만으로 견디게 하는 구조.

   (3) 시공과정에 따른 분류

     ①습식구조: 일체식구조 -à 겨울철공사 불가능 == 물을 많이 사용

②건식구조: 가구식구조 -à 겨울철공사 가능 = 물을 거의 사용하지 않음.

    ※ 보충내용

       건축의 3요소 = 구조. 기능. .

       건축구조 요건의 4용소: 안전성.  거주성.  내구성.  경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