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m & Drop-wise Condensation
막상 응축이란 응축성 증기와 접하고 있는 수직 평판의 온도가 증기의 포화 온도보다 낮으면 표면에서 증기의 응축이 일어나고, 응축된 액체는 중력 작용에 의해 평판상을 흘러 떨어지게 된다. 이때 액체가 평판 표면을 적시게 되는 경우, 응축된 액체는 매끈한 액막을 형성하며 평판을 따라 흘러 내리게 된다. 이것을 막상 응축이라 한다.
적상 응축이란 만일 액체가 평판 표면을 적시기 어려운 경우에 응축된 액체는 평판 표면에 액적 형태로 부착되며, 각각의 액적은 불규칙하게 떨어진다. 이것을 적상 응축이라 한다.
막상 응축의 경우에는 액막 두께가 평판 밑으로 내려 갈수록 증가하는데, 이 액막 내에는 온도 구배가 존재하고, 따라서 그 액막은 전열 저항이 된다.
액적 응축의 경우에는 평판상이 대부분 증기와 접하고 있으며, 증기에서 평판으로의 전열에 대한 액막의 열저항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높은 전열량을 얻을 수 있는데, 실제의 경우에 전열량은 막상 응축에 비해 약 7배 정도이다.
열전달 관점에서는 이러한 액상 응축이 바람직하나, 대부분의 고체 표면은 응축성 증기에 노출되면 젖기 쉬우며 액상 응축을 장시간 유지하는 것도 곤란하다. 따라서 액상 응축을 장시간 유지하기 위하여 고체 표면에 코팅 처리를 하거나 증기에 대한 첨가제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나 그다지 효과는 없다.
'직업 > 산업용 냉동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매주입량의 과.부에 대하여 (0) | 2010.05.15 |
---|---|
냉동 사이클에 의한 냉동능력 (0) | 2010.05.15 |
열파이프의 작동원리 및 응용전망 (0) | 2010.05.15 |
냉동 시스템에서 냉매의 과열 (Super heating) 과 과냉 (Sub Cooling) (0) | 2010.05.15 |
산업용 냉동제조시설의 작업장 안전수칙 (0) | 2009.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