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산업용 냉동기

냉동설비 운전과 점검의 일반적인 사항

아우라지. 2009. 11. 16. 00:30

냉동기 운전과 점검                                                                                                 

 1. 운전상태 점검                                                                               

  냉동장치의 운전 점검이 필요한 정상적인 상태를 일반적인 냉동장치에 대해서 그림 4 4 나타낸다.

 


[그림. 1]

 

[. 1] 냉동장치 부분의 정상적인 운전상태

 

점검할

 

정상적인 운전상태

압축기

흡입가스관

흡입압력

흡입온도

냉매증발온도에 상당하는 포화압력-흡입관에서의 압력 강하
냉매의 증발온도+과열도, 과열도는 5전후가 좋다

토출관

토출압력

토출온도

냉매의 응축온도에 상당하는 포화압력+토출관에서의 압력강하
냉매의 종류와 운전조건에 따라 다르지만110이하

윤활유
펌프

유압
유온

흡입압력+1.5~5kg/㎠사이가 되도록 조정
운전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50이하

유면계

유량
유의청정도

거의 중앙, 규정레벨까지
투명하고 탁하지 않을

크랭크
케이스

케이스
온도음향

50이하, 이상하게 낮을 때는 액을 흡입하기 때문
이상한 마찰음, 타격음이 없을

베어링

온도

외부에 손을 대서 따뜻한 정도 45(55이하로 확보)

축밀봉

유의누출

유의누출이 없을 (유의누출은 가스누출로 생각해도 좋다)

크랭크축

회전수

규정회전수(±5% 이상일 때는 풀리의 직경을 점검)

압축기
가대

필요한곳

진동

이상한 진동이 없을

전동기

전원

전압
전류

규정된 전압(±10% 이내일 )
규정된 운전전류치(전동기의 정격 이내일 )

베어링

온도

이상하게 높지 않을 (70이하)

케이싱

온도

코일의 절연을 종류에 따라 허용 상승치 이내(A종인 경우 105, E종인 경우 120) 케이상과의 온도차 고려

유분리기

동체

온도

극단으로 저온이 아닐 (응축온도 이상)

유면계

유면

유가 정상으로 반유되고 이상으로 유면이 높지 않을

응축기

냉각수

입구온도
출구온도
유량
수압

이상으로 높지 않을
정상적인 온도차(5~7정도)
규정유량이 확보되어 있을
콘덴서, 배관 등의 저항을 이길 있는 규정수압

액면계

냉매액면

겨우 액면이 남아있을 . 이상하게 액면이 높을 때는 과잉충전

액출구관

액출구온도

응축압력에 상당하는 온도와 냉각도 5

수액기

액면계

냉매액면

규정액면(이상하게 과부족 되지 않을 )

액배관

필터출구관

액냉매온도

이상한 온도강하가 없을

 

증발기

사이트
글라스

기포

기포의 발생이 없을 (적은 기포는 흘러가지만 다량일 때는 좋지 않다)

팽창밸브
입구

액냉매온도

이상항 온도상승, 강하가 없을

피냉각체
(
공기, , 브라인 )

입구온도, 출구온도
유량

온도차와 유량으로부터 냉동능력을 산정해서 설계치와 비교검토 한다.

공기냉각
코일

착상상황

이상으로 두꺼운 착상이 없을 . 필요에 따라 제상한다.

냉매출구

증발온도
증발압력

증발압력에 상당하는 포화온도와 비교해서 적당하게 과열도가 있을

액면계
(
만액식)

액면

절반보다 조금 높은 액면에 있을

브라인출구

온도

브라인 동결온도 +2~3

브라인

농도

요구냉각온도에 여유를 갖는 동결온도에 대응하는 농도 필요이상으로 농도를 높이지

 

     냉동장치에서 점검할 곳을 미리 정하고 정상적인 상태의 기준과 이상상태의 판정기준을 명확하게 두어야 하며 그밖에 운전일지를

     만들어서 정기적으로 운전기록을 정리하도록 하는 것이 운전관리상 중요하다.

2. 장기휴지후의 시동
    
운전준비 운전개시 순서에 따라 시동하는데 특히 다음과 같은 점에 주의해야 한다.
 
반드시 운전 전에 각부의 누출을 점검해서 누출이 있으면 수리한다.
 
냉매배관의 입상부에 냉매 액이나 윤활유가 고여 있을 염려가 있으므로 밸브의 개폐는 신중하게 해야 한다. 특히 압축기 흡입

     스톱밸브의 조작에 주의해서 수격현상(liquid hammer) 일으키지 않도록 밸브조작은 시동 서서히 신중하게 하도록 .
 
냉각수 계통에 통수하고 오염된 물은 배수해둔다. 또한 침입한 공기는 완전히 배기해서 물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해둔다.
 
기타 사항은 운전준비 운전개시의 순서에 따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