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탕설비
1. 급탕방식
1). 개별식 급탕법
가. 개별식 급탕설비란: 필요한 곳마다 보일러를 설치해서 물을 데워서 사용하는 방법.
나. 개별식 급탕법의 종류
① 순간온수기: 60 ~ 70℃로 공급. 연료는 전기나 가스 사용. 소규모에 사용한다.
수전을 열면 수압이 떨어지면서 가스가 통고되는 관이 열려서 파일러프레임을 작동시켜
물을 가열해서 사용한다.
② 저탕형 탕비기: 탱크(저탕조)에 일정량의 물을 항상 데워서 저장했다 사용하는 것.
써머스텟(자동온도조절기)가 필요하다 à 벨로우즈 또는 바이메탈을 이용하여 항상
일정한 온도의 온수공급.
③ 기수 혼합식: 물에 증기를 섞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증기 공급압력은 1 ~ 4 kg/㎠
장점: 열효율이 100%로 손실이 없다. 병원의 큰용조, 수세장 등에 사용한다.
단점: 소음이 많다. è 소음방지기로는 스팀 싸이렌스 (S형, F형)
2). 중앙식 급탕법: 직접가열식. 간접가열식이 있다.
① 직접가열식: 온수보일러에서 온수를 생산하여 직접 공급하는 방법.
장점, 단점: * 고층건물에 사용, 고압보일러가 필요하다.
* 급탕과 난방을 할 경우 보일러를 두 개 두어야 한다.
* 가열코일이 필요 없다. *보일러에 스케일이 많이 발생한다.
* 소규모에만 사용 가능하다.
② 간접가열식: 증기보일러에서 생산된 증기를 이용하여 별도로 설치된 급탕용, 난방용 열교환기에
증기를 공급하여 물을 덥혀 온수를 생산 공급한다.
장점. 단점: * 고압보일러가 필요 없다. * 1대의 보일러로도 가능하다.
* 스케일이 낄 염려가 없다. * 별도의 가열코일이 필요하다.
* 대규모에 가능하다.
2. 가열장치의 용량결정
1). 가스히터를 사용시 가스소비량
①가스소비량(G) = W × (t₂-t₁) / F × η
②소요전력량(He) = W × (t₂-t₁) / 860 × η =KW/Hr
G=㎥/hr. W=급탕량(kg). F=가스의 발열량(㎉/kg). η= 효율
2). 급탕배관의 주의사항
가. 신축이음의 종류:
①스위불 이음: 엘보를 2개 이상 사용하여 주로 난방용 배관에 사용하며 누설가능성이 많다.
②슬리브 이음: 보수가 용이한 곳(벽 바닥용의 관통배관)
③벨로우즈 이음:
④신축곡관(루프): 고압에 사용 옥외 배관에 적당.
⑤콜드스프링:
나. 신축이음의 설치 목적: 신축이음을 설치하지 않으면 어느 곳에서 터질지 몰라 신축팽창을 대비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다. 신축이음의 설치 간격
① 동관 : 20m 마다, 동 : 30㎟
② 강관 : 30m 마다, 알루미늄 : 50㎟ \
수직관은 10~20m 마다 1개소씩 설치한다.
※ 급탕이 80℃로 상승하면 철관 100m 에 10cm 가 신장(늘어남)
급탕설계: 급탕부하 = 급탕량 х 온도차 = 60 kcal/kg (정해진 값이 없을 때)
3). 팽창탱크 및 보충수: 온수난방 및 급탕설비에 사용하는 안전장치이다.
즉, 물이 온도상승으로 부피가 늘어나면서 이상압력상승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급탕 수직
공급관 상부에 탱크를 설치하고 팽창관으로 연결한다.
※ 팽창탱크의 높이는 최상층 수도꼭지로부터 5m 이상 높게설치한다
※급탕의 공급방식:
가.
나.
항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다. 역환수(리버스 리턴방식):
- 급탕 온수 난방방식. – 순환이 균등하게 이루어 진다.
- 시설비가 비싸다. – 배관 길이가 길어진다.
è역환수 방식의 원리: 온수를 먼저 공급한 가구에서 회수할 때는 가장 나중에 회수하고, 가장
나중에 공급한 가구의 온수를 가장 먼저 환수하는 방법이다.
주 환수관이 나중 공급한 가구에서부터 시작한다.
라. 상향식 공급방법: 올라가면서 공급하는 방식
하향식 공급방법: 내려가면서 공급하는 방식.
※ 보온 피복
1) 저탕조 및 배관계통은 열전도율이 적고 내열성인 것으로 보온피복하여
열손실을 최소로 한다.
2) 보온재료는 펠트, 규조토, 그라스울, 석면, 마그네샤, 아스베스토스 등
3) 피복두께는 3-5mm
※ 배관의 부식
1) 배관이 물과 접촉하고 있을 때 금속은 양이온화 되어 용해하려는 성질이 있다.
2) 접촉된 다른 두 금속이 이온화 경향의 차이가 크고 관이 접촉할 때, 접촉점 부근에서 부식발생.
3) 전식 : 외부로부터 전류가 관으로 유입될 때(특히 전류가 유출되는 부분에 가장 큰 부식이 발생)
4) 급탕관은 노출배관하는 것이 좋고, 주석도금한
※ 배관의 세정방법
1) 물리적 방법
① 스크레버법 ② 오가법(회전기) ③ 초음파법(충격파)
④ 고압수 분사법 ⑤ 폴픽법 ⑥ 샌드법(모래)
2) 화학적 방법
① 순환법 ② 일과법(직접투입법)
3) 병용방법 : 초음파법 등과 화학적 방법을 병용
※ 수압시험
1) 배관 완성후 보온하기 전에 상용압력의 2-3배 이상으로 10분간 수압시험한다.
※배관의 크기: 급수 è 15A 이상 사용. 급탕 è 20A 이상사용, 단, 환수관은 급탕관 보다 작으며
20A 이상 사용.
※배관의 수압시험
① 공공수도 직결식의 수압시험압력 = 17.5 kg/㎠. 배관/ 탱크류 = 10.5 kg/㎠
② 급탕의 수압시험: 최고사용압력의 2배 이상으로 10분 동안 유지.
※ 태양열을 이용한 급탕방법
(1) 태양열 씨스템
1) 집열장치. 2) 축열장치. 3) 급열(공급)장치. 4) 열원보조장치. 5) 제어장치
'건축설비 > 시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관리 공조냉동설비 (0) | 2009.10.31 |
---|---|
공동주택의 난방설비 (0) | 2009.10.31 |
배수통기설비 및 위생설비 (0) | 2009.10.31 |
공동주택의 급수설비 (0) | 2009.10.31 |
건축설비개론 (0) | 2009.10.31 |